사유의 칼. 시대의 질문. 도마의 요리사

[카테고리:] Mixing bowl

  • 호모 프롬프트

    [도마 1호 ‘쇼츠’ 모티프 이미지] 이 작업은 생성형 AI Firefly를 이용하여 총 100개의 질문과 요청이 담긴 텍스트를 이미지로 구현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디지털 가상공간에서 오브제를 배치하고 질감과 스타일 효과를 설정하며 구도를 만들었다. 다음은 작업을 위해 사용된 단어들이다. 잘린 카메라 렌즈, 무채색의, 디스토피아, 도마, 산산조각 난, 텅 빈, 말풍선, 균열, 맹목적으로 따라가는, 마우스 커서, 좋아요, 파편화, 이목구비가…

  • 쇼츠 연작

    1956, Untitled 디지털 시대의 콘텐츠 소비 방식을 시각적으로 해석한다면 무엇이 담겨야할까? 김환기의 1956년 작품에서 여러 대상을 격자 속에 나열한 방식의 표현을 보았다. 이를 오마주 하여 화면 속 16개의 아이콘을 쇼츠 미디어로 대표되는 모바일앱의 아이콘으로 채웠다. 이는 단편적인 콘텐츠 소비 패턴을 상징하며, 미술관에서 10초도 안 되는 짧은 시간에 작품을 스쳐 지나가는 관람객의 모습까지 연결된다. 미디엄을 층층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