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tegories: Spatula

우리가 머무는 순간

감각의 경계를 허물며

짧은 순간이 우리를 붙잡는다. 그 순간은 감각의 경계를 넘어서며, 익숙한 현실의 틀을 흔들어 놓는다. 우리는 그 짧은 시간 속에서 한 사람의 인생을, 혹은 한 세상의 끝을 마주한 듯한 기시감을 느끼게 된다. ‘쇼츠(Shorts)’라는 형식이 그렇다. 그것은 단순히 영상의 길이를 뜻하지 않는다. 그 짧은 시간 속에 얼마나 많은 이야기가 숨겨져 있을 수 있을까? 마치 볼프강 틸만스(Wolfgang Tillmans, 1968~)의 사진처럼, 쇼츠는 물질적 현실을 넘어서는 무언의 언어를 생성한다. 틸만스가 빛과 색을 통해 물질을 해체하며 새로운 시각적 세계를 열듯, 쇼츠는 감각을 자극하고, 동시에 사고의 깊이를 더하는 매개체가 된다. 이 짧은 형식은 단순히 시선을 끌고 소비되는 것이 아니다. 그것은 오히려, 우리가 잃어버린 어떤 깊이를 되찾게 만드는 도전과도 같다

쇼츠는 단순히 빠르게 소비되는 것이 아니다. 그 안에는 우리가 놓치기 쉬운 미세한 의미와 감정이 숨어 있으며, 그 짧은 시간 속에서 현실을 넘어 상상력과 감각의 세계로 나아가는 예술적 도전이 담겨 있다. 틸만스의 사진이 그렇듯, 쇼츠는 우리에게 순간의 본질을 감지하게 하며, 그 속에서 새로운 시각적 언어와 감각적 경험을 찾아갈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우리는 그 안에서 단지 이미지의 소비자가 아닌, 의미를 창조하는 참여자가 된다.

그렇다면, 쇼츠는 무엇을 던지는가? “예술은 반드시 길고 깊이 있는 설명이 필요할까?” “짧은 순간 속에서 얼마나 많은 이야기를 담을 수 있을까?” “쇼츠는 예술적 사고와 소통을 어떻게 재구성할 수 있을까?” 이러한 질문들은 단순히 형식적인 호기심을 넘어서, 예술의 본질에 대한 깊은 성찰을 촉구한다. 쇼츠가 우리가 살아가는 일상 속에서 열어주는 가능성은 무궁무진하다. 이 짧은 형식은 속도와 직관을 중시하는 현대 사회에서조차 예술적 상상력의 진화로서 자리매김할 수 있다. 그 속에서 발견될 새로운 의미가 무엇이 될 지는 알 수 없다.

빛과 색의 경계에서

쇼츠는 이미지가 전하는 직관적이고 감각적인 메시지에 중점을 둔다. 이는 틸만스의 <Lighter> 시리즈에서 빛과 색의 상호작용만으로 시각적 몰입을 극대화하는 방식과 유사하다. 틸만스는 특정 서사 없이도 이미지의 질감과 색채만으로 관객에게 감각적 여운을 남기며, 이미지를 통해 새로운 언어를 창조한다. 쇼츠 역시 언어적 설명을 배제한 채, 짧은 시각적 충격과 감각적 몰입을 통해 메시지를 전달한다. 이 둘의 공통점은 이미지가 언어를 넘어 보편적이고 즉각적인 소통의 매개체로 기능한다는 것이다.

틸만스의 <Freischwimmer> 시리즈는 카메라를 사용하지 않고 암실에서 빛과 화학적 반응을 통해 만들어진 이미지들로 구성된다. 여기서 물리적 형태는 사라지고, 빛과 색의 추상적 흔적만이 남는다. 이러한 작업은 관객에게 이미지의 본질을 새롭게 바라보게 하며, 익숙한 시각적 체계를 벗어나 자유로운 해석과 몰입을 유도한다. 이 점은 쇼츠와 밀접하게 연결된다. 쇼츠는 짧은 시간 안에 최대한의 시각적 경험을 압축하며, 때로는 서사를 생략하거나 단서를 최소화함으로써 관객이 그 빈 공간을 채우도록 만든다. 틸만스는 빛과 물질성을 통해 감각적 경험을 제시했다면, 쇼츠는 짧은 영상 속에서 이미지와 움직임의 강렬한 충돌로 새로운 시각적 언어를 구축한다.

깊이를 감각하다

디지털 시대의 상호작용과 참여 속에서 쇼츠는 시청자들이 단순히 정보를 소비하는 것을 넘어 댓글, 공유, 리믹스 등을 통해 적극적으로 콘텐츠에 참여하도록 유도한다. 이는 틸만스가 전시 공간에서 이미지를 다층적으로 배열해 관객과의 물리적 상호작용을 유도하는 방식과 맥을 같이한다. 쇼츠의 짧은 영상이 디지털 플랫폼에서 커뮤니티 대화를 촉진하듯, 틸만스의 작업은 관객이 단순히 이미지를 보는 것을 넘어, 공간과의 관계 속에서 경험을 재구성한다

쇼츠를 예술적 맥락에서 바라보면, 그것은 단순히 디지털 콘텐츠의 한 형태가 아니라 현대적 소통 방식의 진화로 이해할 수 있다. 쇼츠는 빠르고 직관적인 형식 속에서도 강렬한 메시지와 감각적 경험을 전달한다. 이는 현대인의 짧은 주의 지속 시간과 즉각적 만족을 추구하는 경향에 부응하면서도, 예술적 사고를 자극하는 새로운 플랫폼으로 기능한다. 틸만스의 작품과 쇼츠는 모두 관객을 능동적인 참여자로 만든다. 쇼츠는 짧은 영상 내에서 관객에게 직관적 감각을 제공하면서도, 그들이 스스로 해석하고 새로운 의미를 발견할 여지를 남긴다. 이는 현대 예술이 추구하는 열린 소통 방식과 일치한다. 쇼츠는 짧은 순간에 무한한 가능성을 담고 있지만, 그 속에 숨겨진 진정한 의미를 찾는 여정은 끝이 없다. 우리는 그 속에서 무엇을 발견할 수 있을까? 그것이 단지 빠르게 소비되는 이미지에 지나지 않을지, 아니면 새로운 감각적 언어를 여는 열쇠가 될지, 그 답은 여전히 모호하다.

“그 답은 아직, 그 어디에도 있다.

Wolfgang Tillmans, Freischwimmer #122, 2005  from Artnet
Wolfgang Tillmans, Freischwimmer, 56, 2004 from Artnet
Wolfgang Tillmans, Lighter, green black V, 2023 from David Zwirner
Wolfgang Tillmans, Lighter, blue up IX 2013 © Wolfgang Tillmans, courtesy Maureen Paley, London
노재윤(미카로)

Share
Published by
노재윤(미카로)

Recent Posts

『타타르인의 사막』

디노 부차티(Dino Buzzati)(1940)  쇼츠의 시대. 짧고 빠름을 추앙하는 시대. 기다림 없는 시대. 빠른 성취와 인정을…

4주 ago

호모 프롬프트

[도마 1호 ‘쇼츠’ 모티프 이미지] 이 작업은 생성형 AI Firefly를 이용하여 총 100개의 질문과 요청이…

4주 ago

20대 남성과 ‘함께 살아가기’는 어떻게 가능할까?

1. 20대 남자, 탄핵 정국의 낮은 참여율 탄핵 정국을 통과하면서 가장 인상적인 키워드 중 하나는…

4주 ago

응시하기

∞ 응시한다. 시간을 응시한다. 응시된 시간은 그 시간만큼 그대로 내게 와서 쌓인다. 한 잎 두…

1개월 ago

문턱없는 미끄러짐의 시대

불면의 밤이 왔다. 머리맡에는 손을 뻗으면 충전 중인 스마트폰이 있다. 이리저리 엎치락뒤치락하다가 결국 스마트폰을 쥐고…

1개월 ago

쇼츠 연작

1956, Untitled 디지털 시대의 콘텐츠 소비 방식을 시각적으로 해석한다면 무엇이 담겨야할까? 김환기의 1956년 작품에서 여러…

1개월 ago